본문 바로가기

prev record

[2010.05.17.월요일] 안드로이드 기본 개념

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

   내장 라이브러리와 런타임 위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 계층이 있다.

   액티비티 매니저(activity manager) - 애플리케이션  생명주기를 제어

   콘텐츠 제공자(content provider) -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공유되는 정보 요약(예. 주소록)

   리소스 매니저(resource manager) - 리소스란 프로그램의 코드 외 모든 부분

  위치 매니저(location manager) - 안드로이드 폰은 항상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음

  알림 매니저(notification manage) - 도착 메시지, 약속, 근접성 알림 등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게 전달


애플리케이션

안드로이드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의 최상위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이다.

안드로이드에는 포어그라운드(foregraund)애플리케이션 하나며, 상태 줄을 제외한 전체 스크린을 차지한다.

사용자가 자신의 핸드폰 전원을 켰을 때 가장 처음 보는 애플리케이션은 홈이다.

애플리케이션 스택(application stack) - 프로그램과 화면은 시스템의 액티비티 매니저에 의해 여기에 기록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이전(back) 버튼을 누르면 여기에 저장된 이전 화면으로 이동

프로세스
             액티비티를 자유롭게 담을 수 있는 그릇(컨테이너)
             액티비티의 생명주기는 프로세스의 생명주기와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다.


구성요소
액티비티(activity) -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

인텐트(intent) - 구체적인 행동을 설명하는 메커니즘(예. "사진을 집어 들다", "집에 전화 걸다" 등)
 
서비스(service) - 사용자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 없이 배경에서 실행되는 작업 (예. 데몬(daemon))

콘텐츠 제공자(content provider) - 데이터의 읽기와 쓰기를 위해 데이터가 사용자 API로 포장된 것



리소스(resource)
           프로그램에 필요한 지역화된 텍스트(문자열)와 비트맵 등 코드 외의 작은 정보.
           빌드(build)시기에 모든 리소스가 애플리케이션에 컴파일됨.
           프로젝트 내의 res 디렉토리에 리소스를 만들고 저장

           R 클래스 - 리소스 컴파일러가 리소스를 압축하고 묶어서 생성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R 클래스는 프로그램에 있는 리소스 참조에 사용되는 식별자를 갖고 있음
 


[출처 : 헬로, 안드로이드(책)]